부처님께옵서 아난에게 말씀하시기를, "불효한 자식은 몸이 괴멸(壞滅)하여 목숨이 끊어지면 아비무간지옥에 떨어지게 되느니라. 이 큰 지옥은 길이와 넓이가 팔만 유순이요, 사면은 철성으로 그 주위는 다시 그물로 둘러쳐 있느니라. 그 땅은 붉은 무쇠로 되었는데 왕성한 불길이 활활 타올라 맹렬한 불꽃은 우뢰와 같고 번개와 같이 번쩍이느니라. 여기에서 끓는 구리와 쇳불을 죄인의 입에 들이붓고 무쇠로 된 뱀과 구리로 된 개가 항상 연기와 불꽃을 내뿜어 죄인을 볶고 태우고 지지고 구어서 기름이 지글지글 끓어 그 고통은 심하여 견디기 어렵고 참기 어렵느니라. 또 쇠몽둥이, 쇠꼬챙이와 쇠망치, 쇠창과 칼날이 비구름처럼 공중에서 쏟아져 내려 혹은 베고 혹은 찔러대느니라. 이렇게 죄인들을 괴롭히고 벌을 주며 여러 겁이 지나도록 양화가 계속되어 잠시도 그칠 새가 없느니라. 또 다시 다른 지옥으로 들어가 머리에 화덕을 이게 하고, 무쇠로 만든 수레로 사지를 찢고 창자와 뼈와 살이 온통 불에 타고 문드러져 하룻동안에도 천만 번이나 살았다가 죽었다가 하느니라. 이와 같이 고통을 받는 것은 전생에 오역의 불효한 죄를 지었기에 이런 죄를 받는 것이니라."

이 때에 대중들이 부처님께서 부모의 은덕을 말씀하시는 것을 듣자 눈물을 흘리며 슬피울면서 부처님께 여쭈옵기를, "저희들이 이제 어떻게 해야 부모의 깊은 은혜에 보답할 수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시기를, "부모의 은혜를 갚고자 하거든 부모를 위하여 거듭 경전을 펴내도록 하라. 이것이 참으로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니라. 능히 경전 한 권을 펴낸다면 한 부처님을 뵈올 수 있을 것이요, 능히 열 권을 펴낸다면 열 부처님을 뵐 수 있을 것이요, 백 권을 펴낸다면 백 부처님을 뵐 수 있을 것이요, 천 권을 펴낸다면 천 부처님을 뵐 수 있을 것이요, 만 권을 펴낸다면 만 부처님을 뵐 수 있을 것이니라.

이들이 경전을 펴낸 공덕으로 말미암아 모든 부처님이 언제나 오셔서 옹호하시기에, 그 사람의 부모로 하여금 천상에 태어나 모든 쾌락을 누리게 하고 영원히 지옥의 괴로움을 벗어나게 하는 것이니라."

이때 대중 가운데 있던 아수라 · 가루라 · 긴나라 · 마후라가 · 인비인등과 천용 · 야차 · 건달바와 여러 작은 왕들과 전륜성왕과 모든 대중들이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바를 듣고 각기 원을 발하여 여쭈옵기를, "저희들이 앞으로 미래제(未來際)가 다하도록 차라리 이 몸을 부수어서 마치 티끌같이 만들기를 백 천만 겁을 지난다해도 맹세코 부처님의 가르침을 어기지 않겠습니다. 또 차라리 백 천 겁에 그 혀를 백유순이나 길게 빼내어 쇠보습으로 갈아서 피가 흘러 하수를 이룬다 해도 맹세코 부처님의 가르침은 어기지 않겠습니다. 또 차라리 쇠그물로써 이 몸을 얽어서 백 천 겁을 지난다해도 맹세코 부처님의 가르침은 어기지 않겠습니다. 또 차라리 작두와 방아로 이 몸을 베고 찧어서 백 천만 조각을 내어 가죽과 살과 힘줄과 뼈가 모두 가루가 되어 백 천겁을 지난다해도 마침내 부처님의 가르침은 어기지 않겠습니다. 이때에 부처님 제자인 덕이 높은 스님들과 수많은 대중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모두 기뻐하고 다같이 부모에게 효도할 것을 다짐하였다.

이때 아난존자가 부처님께 사뢰어 여쭙기를, "세존이시여, 이 경은 마땅히 무엇이라 이름하며 이를 어떻게 받들어 봉행하오리까?"

부처님께옵서 아난에게 이르시되, "이 경은 크게 부모의 은혜를 갚는 경이니 <불성대부모은중경>이라 하라."

그때에 하늘천신과 사람과 아수라들이 부처님의 설하신 바를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하면서 예배하고 물러가니라.

'부모은중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6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3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2
우리말 부모은중경  (2) 2023.10.11
부모은중경이란 어떤 경전인가  (0) 2023.10.06

부모의 헐벗고 배고픔은 아랑곳하지 않고, 아침저녁이나 초하루 보름으로 봉양할 것은 꿈에도 생각하지 않으며, 부모가 나이들어 수척해지고 기운이 없어 보이면 남이 볼까 부끄럽다고 멸시와 구박이 자심하며, 혹 아버지와 어머니가 홀로 되어 외딴 방에 홀로 있으면 마치 남의 늙은이가 나그네로 와서 의지해 있는 것 같이 생각하며 방을 치우거나 마루를 닦는 일이 없고, 한 번도 살피거나 문안드리는 일이 없으며, 방이 차고 더웁거나 옷 입고 밥 먹는 것들을 아는 체하지 않으며, 그리하여 부모로 하여금 밤낮으로 슬프게 하느니라. 혹 맛있는 음식을 보면 싸가지고 돌아와서 부모에게 드려야 할 터인데,  남들이 비웃는다 하여 부끄럽게 여기면서도 좋은 음식을 가져다가 처자식을 먹일 때는 체면도 없이 비루한 짓을 저지르며, 제 아내나 첩과 약속한 것을 꼭꼭 지키면서도 어버이의 말씀과 부탁은 조금도 어렵게 생각하지 않느니라. 만일 딸이 출가하게 되면 집에서는 그렇게 효순하던 것도 제 남편을 맞은 뒤에는 차츰 공경하지 않아 부모는 조금만 꾸짖어도 이내 원망을 하면서 남편에게는 설사 매를 맞아도 달게 여기며, 서이 다른 남자에게는 인정이 깊고 사랑이 넘치면서 자기의 혈육이나 친척에게는 오히려 냉소하며, 또 제 남편을 따라 타향에 옮겨가게 되면 부모를 이별하고서도 소식을 끊고 편지 한 장도 보내지 않으며, 부모로 하여금 간장이 끊어지듯이 생각하게 하나니 부모는 딸의 얼굴을 한번 보고 싶어하는 것이 마치 목마를 때 물을 생각하듯이 잠시도 쉬지 않느니라. 그리하여 어버이의 은덕을 생각하면 한량이 없건만 자식의 불효하는 죄는 말로 다하지 못하느니라."

그때에 여러 제자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모두 땅에 엎드려 그 동안의 불효를 뉘우치며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그들은 다시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저희들은 가슴이 쓰리고 마음이 아프옵니다. 저희들은 이제야 많은 죄를 지은 줄 알았나이다. 이전에는 어리석어 깨닫지 못했는데 오늘에야 비로소 잘못을 알고 보니 마음이 아파 어찌할 줄을 모르겠습니다. 바라옵건대, 세존께옵서는 저희들을 불쌍히 여겨 가르쳐 주십시요. 어찌하면 부모님의 깊은 은혜를 갚겠나이까." 부처님께옵서는 엄숙히 말씀하셨다. "내가 지금 너희들을 위해 말하리니 자세히 들으라. 가령 어떤 사람이 부모의 은혜를 갚기 위하여 왼쪽 어깨에 아버지를 업고, 오른쪽 어깨에 어머니를 업고서 수미산을 백 번 천 번 돌다가 가죽이 터져서 뼈가 나오고 뼈가 닳아서 골수가 흐른다 하여도 오히려 부모의 깊은 은혜는 다 갚을 수 없느니라. 가령 어떤 사람이 흉년을 당하였을 때 어버이를 위해 몸의 살을 오려내고 뼈를 갈아 봉양하더라도 오히려 부모의 깊은 은혜는 다 갚을 수 없느니라. 가령 어떤 사람이 어버이를 위하여 그 몸에 불을 켜서 여래에게 공양하기를 백천 겁이 지나도록 하여도 오히려 부모의 깊은 은혜는 다 갚을 수 없느니라."

이 때에 여러 제자들은 부처님으로부터 부모님의 그 깊은 은덕 이야기를 듣고 눈물을 흘리면서 다시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지금 저희들은 큰 죄인입니다. 어떻게 하면 부모님의 깊은 은혜를 갚겠습니까."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부모의 깊은 은혜를 갚으려면 부모를 위하여 불경을 써서 보시하고, 부모를 위하여 불경을 읽고 외우며, 부모를 위하여 죄를 참회하며, 부모를 위하여 삼보에게 공양하며, 부모를 위하여 계법을 가지며, 부모를 위하여 보시하여 복을 지을 것이니, 만일 이렇게 하면 효도하는 아들 딸이라 할 것이니라." 

'부모은중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7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3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2
우리말 부모은중경  (2) 2023.10.11
부모은중경이란 어떤 경전인가  (0) 2023.10.06

부처님이 아난에게 말씀하시되 "내가 이 세상의 중생들을 보니 비록 사람의 얼굴을 가졌으나 그 마음과 행동이 어리석어서 부모의 큰 은혜를 알지 못하고 공경하는 마음을 내지 않으며 은혜를 저버리고 착한 마음이 없어서 효도하지 않고 또한 의리도 없느니라. 어머니가 아기를 밴지 열 달 동안에는 일어나고 앉음이 편치 못하여 무거운 짐을 진 것 같고, 음식을 소화하지 못해 오랜 병을 앓은 사람 같으며, 열 달이 되어서 분만할 때에는 몹시 심한 고통을 받으면서도 자칫 잘못하면 아기가 죽게 될까 두려워하며 양이라도 잡은 듯 피를 흘려 자리를 적시었느니라. 이러한 고통을 받으면서도 이 몸을 낳은 후에는 쓴 것을 삼키고 단 것은 뱉아 먹이며, 업어서 기르고 다러운 똥, 오줌을 받아내면서 부정한 것을 빨래하되 귀찮다 않으시며, 덥고 추운 것을 참으면서 그 많은 고생을 싫어하지 아니하며, 마른 데는 아기를 누이고 젖은 데서는 어머니가 자며 삼 년 동안 젖을 먹여서 아기가 자라나면 학문과 예절을 가르쳐 시집 장가들이고, 벼슬도 시키고 직업도 구하여 주며, 힘들게 가르치고 애써 기르는 일이 끝나더라도 사랑은 끝났다고 말하지 않느니라. 그리고 만일 자식이 병이 들면 부모도 함께 병이 들고 자식이 병이 나아야 부모의 병도 비로소 낫느니라. 이렇게 애써 기르면서 어른 되기를 기대하지만, 그 자식이 다 큰 뒤에는 부모의 그러한 은공도 모르고 도리어 불효하고 불공하여, 부모에게 불손하게 대항하고 눈을 흘기고 눈동자를 굴리면서 업신여기며, 형제끼리는 욕하고 싸움하며 일가 친척을 헐뜯고 예의를 지키지 않으며, 부모의 이르는 말에 순종하지 아니하고 형제 간에 말할 때에도 일부러 어깃장치며, 가나 오나 어른에게 알리지 아니하고, 말과 행동이 버릇없고 괴상하여 제멋대로 행동하느니라. 한편 부모는 자식의 잘못을 훈계하고 타일러서 잘못을 바로 잡아 주어야 할 것이거늘, 철없다 용서하고 덮어주기만 하였으므로 점점 자라면서 거칠어져 순종하지 아니하고,  잘못을 반성하지 않으며 도리어 성을 내느니라. 또한 좋은 친구를 멀리하고 나쁜 사람을 사귀며 그러다가 그 버릇은 천성이 되어서 드디어 큰 잘못을 저지르기 쉬우며, 혹 남의 꾀임에 빠져서 사방으로 떠돌아 다니다가 부모를 멀리 여의고 고향을 등지며 이렇게 헛되이 세월을 보내다가, 어찌되어 결혼을 하게 되면 오래도록 집에 돌아오지 않느니라. 이렇게 타향에서 조심없이 방랑하다가 혹 남의 꾐에 빠져 범법을 저지르기도 하며 그로 인해 벌을 받고 감옥에 갇히기도 하며, 혹은 심한 질병에 걸려서 큰 고통을 당하거나 혹 액난을 만나 춥고 배고픔을 면할 길이 없어 돌봐주는 사람도 없이 여러 사람의 업신여김을 받으며, 혹은 길거리에 쓰러져 결국 죽게 되더라도 아무도 구해줄 사람이 없고 죽은 시체까지도 땅에 묻히지 못하여, 그냥 썩으며 볕에 쪼이고 비 바람에 불리어 해골은 흩어져서 타향의 모래바닥이나 풀밭에 뒹굴게 되어 부모 친척과는 영원히 만나지 못하게 되느니라.

부모의 마음은 자식을 따라서 걱정하기도 하고, 혹은 피눈물을 흘리다가 눈을 버리기도 하고 혹은 너무 슬퍼하다가 병이 되기도 하며, 혹은 자식을 기다리다가 몸이 약해져서 죽게 되면 외로운 영혼이 원한이 되어서 끝끝내 잊어버리지 못하느니라. 혹은 자식이 효순과 도의를 본받지 않고 좋지 못한 무리들과 어울려 떠돌아다니며 사나와져서 나쁜 일을 일삼는다거나, 남을 때리기도 하고 도둑질을 하여 이웃에게까지 해를 끼치기도 하며, 술마시고 노름하고 여러가지 죄를 저질러서 형제에게 누를 끼치거나 부모에게 걱정을 시키기도 하며, 아침에 집을 나갔다가 밤 늦게야 돌아오기도 하면서 부모로 하여금 근심하게 하느니라.

'부모은중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7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6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2
우리말 부모은중경  (2) 2023.10.11
부모은중경이란 어떤 경전인가  (0) 2023.10.06

다섯째, 마른 자리 아기 뉘고 젖은 데로 눕는 은혜 

어머니  당신몸은  백번이  젖더라도  아기는  어느때나  마른데  뉘이시며

두젖을  먹이어서  아기배  불리시고  찬바람  쏘일세라  소매로  가리우네.

아기를  돌보느라  잠한번  편히자랴  두둥실  둥개둥개  안아서  놀리시니

아기만  편하다면  뭣인들  사양하며  어머니  그몸이야  고된들  어떠하랴.

 

여섯째, 젖 먹여 양육하신 은혜 

어머님  크신은혜  땅에다  견주리까.  아버님  높은은덕  하늘에  비기리까.

높고큰  부모은공  천지와  같사오니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뜻  다를손가.

눈과코  없더라도  조금도  밉잖거든   손과발  못쓴다고  싫은맘  있을손가.

배갈라  낳은자식  병신이  더귀여워   온종일  사랑해도  정성은  끝없어라.

 

일곱째, 똥 오줌 가려주신 은혜 

지난날  이내얼굴  꽃보다  고왔었고  옥같이  아름답고  솜같이  부드러워

예쁘게  그린눈썹  버들잎  부끄럽고  두볼에  붉은빛은  연꽃도  수줍었네.

은혜가  깊을수록  내얼굴  여위었고  기저귀  빠느라고  손발이  거칠었네.

아들딸  기르노라  고생도  극심하여  어머님  꽃얼굴에  주름살  잡히었네.

 

여덟째, 먼길 가면 걱정하는 은혜 

죽어서  이별함도  고통이  크지마는  살아서  이별함도  마음을  끊노매라.

자식이  집을떠나  먼길을  가게되면  어버이  그마음은  자식을  따라가네.

이마음  밤낮으로  자식을  생각하여  두눈에  흘린눈물  천줄기  만줄기라.

원숭이  자식사랑  창자를  끊어내듯  어버이  자식걱정  그보다  더하여라.

 

아홉째, 자식 위해 애쓰는 은혜 

어버이  크신은혜  바다에     비길건가  산보다  높으시니  어떻게     갚사오리

자식의  온갖고생  대신하기  소원이요  아들이  괴로우면  부모마음  편치않네.

아들딸  길을떠나  먼길을     가게되면  밤이면  추울세라  낮이면     주릴세라

자식들  잠시라도  고통을     받게되면  어버이  근심걱정  하루가     삼추로다.

 

열번째, 끝까지 사랑하시는 은혜 

아버님  어머님의  그은혜  어떠한가  자식을  생각하심  잠신들  쉬오리까

서거나  앉았거나  마음은  따라가고  멀거나  가깝거나  사랑은  같을세라.

늙으신  부모나이  백살이  되었어도  여든된  아들딸을  행여나  걱정하네.

부모님  깊은은공  언제나  끊일런지  이목숨  다한뒤나  다할까  하노매라.

'부모은중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7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6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3
우리말 부모은중경  (2) 2023.10.11
부모은중경이란 어떤 경전인가  (0) 2023.10.06

부처님께옵서 어느 때 사위국의 왕사성 기수급고독원에서 덕이 높은 비구 삼만 팔천 명과 수많은

보살마하살과 함께 계셨다. 그때에 부처님께옵서 대중을 거느리시고 남쪽으로 가시다가 마침 마른

뼈 한 무더기를 보시게 되었다. 이 때에 부처님께옵서 곧 해골더미를 향하여 이마를 땅에 대고 큰

절을 하시었다. 이것을 본 여러 제자들 가운데 아난다 존자가 부처님께 사뢰어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옵서는 이 세상에서 가장 높은 스승이시고 모든 중생의 어버이신데 어찌하여

보잘 것 없는 해골더미에 절을 하시나이까?"

부처님께옵서 아난에게 이르시되, "네가 비록 나의 상수제자요 출가한 지도 오래되었지만 아직 이치를

알지 못하는구나. 이 한 무더기 뼈들은 전생에 나의 조상이었을 것이고, 또 나의 부모도 되었을 것이므로

내가 지금 예배한 것이니라. 아난이여, 네가 이 한 무더기 뼈들을 두 몫으로 나누어 보아라. 만일 남자의

뼈라면 희고 무거울 것이요, 만일 여자의 뼈라면 검고 가벼울 것이니라."

아난이 부처님께 사뢰어 여쭈되, "세존이시여, 남자와 여자가 살아 있을 때에는 그 옷과 생김새를 보고

남녀를 구별할 수 있겠지만, 한 번 죽은 뒤에는 똑같은 백골일 뿐인데 어찌 제자로 하여금 남녀의 뼈를

분별하라 하시나이까."

"아난이여, 만일 남자라면 세상에 살아있을 때 절에 가서 불경 읽는 소리를 듣기도 하고 불법승 삼보께

예배도 하고 염불도 하였을 것이므로 그 뼈가 희고 무거울 것이고, 만일 여자라면 아기를 한 번 낳을

적마다 서말 서되의 피를 흘리고 여덟 섬 너말의 젖을 먹여야 하므로 뼈가 검고 가벼울 것이니라."

아난이 이 말씀을 듣고 가슴을 여미는 듯 눈물을 흘리며 부처님께 말씀드리기를, "세존이시여, 어떻게

하면 어머니의 은혜를 갚을 수 있겠나이까."

부처님이 아난에게 이르시되, "자세히 듣고 명심하여라. 내가 지금 너희들을 위하여 어머니가 아기를

가져 출산하기까지 열달 동안 겪어야 하는 심한 고통을 말해 주리라. 어머니가 아기를 수태한 첫째 달에는

마치 풀끝에 맺힌 아침이슬 방울이 낮이 되면 없어지듯이 새벽에는 피가 모였다가 오후에는 흩어져버리나

니라. 둘째 달에는 잘 끓인 우유죽이 한 방울 떨어진 것 같나니라. 셋째 달에는 흡사 엉킨 피와 같고,

넷째 달에는 점점 사람의 모양을 이루며, 다섯째 달에는 어머니 뱃 속에서 다섯 부분인 오포가 생기나니

오포란 머리가 일포요, 두 팔꿈치가 삼포가 되고 두 무릎까지 오포가 되나니라. 어머니가 수태한 지 여섯째

달에는 어머니 뱃 속에서 여섯 정기가 열리나니 눈 · 코 · 귀 · 혀 · 몸 · 마음등을 여섯 정기라 한다.

그리고 일곱째 달에는 어머니 뱃 속에서 삼백육십 마디와 팔만 사천 털구멍이 생기나니라. 여덟째 달에는

뜻과 지혜가 생기고 아홉 구멍이 생기나니라. 아홉째 달에는 아기가 어머니 뱃 속에서 먹기를 시작하는데

복숭아와 배, 마늘이나 오곡은 먹지 않나니라. 어머니의 생장(生臟)은 아래로 향하고 숙장(熟臟)은 위로

향하여 한더미의 산과 같이 되었나니 이것을 혈산(血山)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한 번 무너지면 한 줄기의

피가 되어서 아기의 입으로 들어가나니라. 어머니가 아기를 수태한 지 열째 달에는 마침내 아기를 낳게

되는데, 그 아기가 만일 부모에게 효도하는 착한 사람이라면 두 손을 모으고 나오면서 어머니를 괴롭히지

않지만, 만일  착하지 못할 자식이라면 어머니의 태를 깨뜨리거나 다리로 어머니의 골반 뼈를 다치게 하여

어머니로 하여금 천개의 칼로 찌르는 듯, 만 개의 창으로 가슴을 쑤시는 듯하게 하나니라."

이런 고통을 겪으면서 아기를 낳은 뒤에도 또 열 가지 큰 은혜가 있나니라.

 

첫째, 태에 실어 보호하는 은혜 

여러겁  내려오며  인연이  깊고깊어  금생에  다시와서  모태에  의탁했네.

달수가  차가면서  오장이  생기었고  여섯달  되어서는  육정이  열렸어라.

한몸이  무겁기는  산보다  더하였고  거니는  그때마다  찬바람  겁이나니

고운옷  생각없어  입어도  보지않고  머리말  거울에는  먼지만  가득하네.

 

둘째, 해산할 때 고통받은 은혜 

뱃속에  아기배어  열달이  다가오니  순산이  언제일까  손꼽아  기다리네.

나날이  기운없어  큰병든  사람같고  어제도  오늘도     정신이  흐리도다.

두렵고  겁난마음  무엇에  비유할까  근심의  눈물만이  가슴에  가득하네.

슬픔의  눈빛으로  친척께  말하기를  죽음이  닥쳐올까  두려울  뿐입니다.

 

셋째, 아기 낳고 근심 잊은 은혜 

어지신  어머님이  나의몸  낳으실때  오장과  육부까지  찢기고  에이는듯

정신이  혼미하고  몸마저  무거우니  흘린피  너무많아  그모습  창피하다.

아기가  건강하다  위로말  들으시면  반갑고  기쁜마음  견줄데  없지마는

기쁨이  지난뒤엔  슬픈맘  다시나며  아프고  괴로움이  온몸에  사무치네.

 

넷째, 쓴 것 삼키고 단 것 받아 먹여준 은혜 

어버이  깊은은혜  바다에     비기오리  귀여워  사랑하심  영원히  변치않네.

단것은  모두모아  아기에게  먹이시고  쓴것만  잡수셔도  그얼굴  밝으시네.

사랑이  깊으시니  아기위함  밤낮없고  은혜가  높으시매  슬픔이  몇곱일세.

어머니  일편단심  아기배     불리고자  며칠을  굶으신들  그어찌  마다하리.

'부모은중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7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6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3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2
부모은중경이란 어떤 경전인가  (0) 2023.10.06

부모의 은혜가 한량없이 크고 깊음을 설하여 그 은혜에 보답할 것을 가르친 불교 경전으로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이라고도 합니다. 이 경의 내용은 부모의 은혜가 한량없이 크다는 것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로써, 어머니가 아이를 낳을 때는 3말 8되의 응혈(凝血)을 흘리고 8섬 4말의 혈유(血乳)를 먹인다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부모의 은덕을 생각하면 자식은 아버지를 왼쪽 어깨에 업고 어머니를 오른쪽 어깨에 업고서 수미산(須彌山)을 백 천 번 돌더라도 그 은혜를 다 갚을 수 없다고 설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부모의 은혜를 기리는 이 경은 유교의 효경(孝經)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 경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부모의 은혜를 구체적으로 십대은(十大恩)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십대은은

① 어머니 품에 품고 지켜주는 은혜 [회탐수호은 懷耽守護恩]

② 해산 날에 즈음하여 고통을 이기시는 어머니 은혜 [임산수고은 臨産受苦恩]

③ 자식을 낳고 근심을 잊는 은혜 [생존망우은 生存忘優恩]

④ 쓴 것을 삼키고 단 것을 뱉아 먹이는 은혜 [인고토감은 咽苦吐甘恩]

⑤ 진 자리 마른 자리 가려 누이는 은혜 [회건취습은 廻乾就濕恩]

⑥ 젖을 먹여서 기르는 은혜 [유포양육은 乳哺養育恩]

⑦ 손발이 닳도록 깨끗이 씻어주시는 은혜 [세탁부정은 洗濯不淨恩]

⑧ 먼 길을 떠나갔을 때 걱정하시는 은혜 [원행억념은 遠行億念恩]

⑨ 자식을 위하여 나쁜 일까지 짓는 은혜 [위조악업은 爲造惡業恩]

⑩ 끝까지 불쌍히 여기고 사랑해 주는 은혜 [구경연민은 究境憐憫恩]

 

둘째는 생태학적으로 보아 매우 과학적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어머니가 자식을 잉태하여 10개월이 될 때까지를 1개월 단위로 나누어서 생태학적으로 고찰하고 있습니다. 

 

셋째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은혜를 강조하고 있어 유교의 <효경>이 아버지의 은혜를 두드러지게 내세우는 점과 대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넷째는 <효경>이 효도를 강조한 것인데 비하여 이 경은 은혜를 강조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경에서도 그와 같은 은혜를 보답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한다는 방법의 제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보은의 방법은 부수적인 것이고, 근원은 은혜의 강조에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은혜를 갚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써 7월15일의 우란분재에 부모를 위해서 삼보(三寶)에 공양하고 이 경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부모를 위해서 이 경의 한 구절 한 게송을 잘 익혀 마음에 새기면오역(五逆)의 중한 죄라도 소멸된다고 하였습니다.

 

이 경은 중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 널리 보급되었고, 나라마다 많은 유통본을 남기고 있습니다.우리나라 유통본은  대부분 <불설대보부토은중경>이라는 명칭으로 불려왔으며, 특히 유교사회였던 조선시대에 이 경이 많이 간행되었습니다. 조선 초기부터 삽화를 곁들인 판본이 많이 간행되었고, 조선 중기 이후에는 언해본이 출판되기도 하였습니다. 언해본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1553년(명종 8년)에 경기도 장단 화장사(華藏寺)에서 개판한 것이 있으며, 변상도(變相圖)의 완벽함과 그 섬세함에 있어서는 정조가 부모의 은혜를 기리는 뜻으로 개간하도록 하고, 김홍도의 그림이 첨가되어 있는 수원 용주사(龍珠寺)의 것을 꼽을 수 있습니다.이밖에도 수십 종의 판본이 전하는데, 이들은 모두 효도가 강조된 조선시대에 불교의 효를 강조함으로써 그 사회의 저변에서나마 불교를 전파하려고 하였던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부모은중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7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6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3
우리말 부모은중경  (0) 2023.10.12
우리말 부모은중경  (2) 2023.10.11

+ Recent posts